· 대상: 초등학생·정원: 20명/회
· 운영: 총 8차시 (진입3·도약3·성장2)
· 이론20%+실습30%+프로젝트40%
· 개인 건강 데이터 측정·분석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
· 센서·코딩을 활용한 헬스케어 문제해결 경험
· 윤리·개인정보 보호 등 디지털 시민의식 함양
· 도구: 마이크로비트, 스마트센서, Canva
· 교재: 자체PPT, 개별 학습지
· 환경: 태블릿(개인), 와이파이, 빔프로젝터
· 디지털원리 이해 및 실습 자신감 향상
· 데이터 해석・표현(포스터/영상) 역량
· 협업・발표・피드백 문화 체득
· 대상: 초등학생·정원: 20명/회
· 운영: 총 8차시 (진입3·도약3·성장2)
· 이론30%+실습50%+프로젝트20%
· 실제 기후 데이터 기반 분석·문제해결 역량 강화
· 데이터 리터러시·피지컬 컴퓨팅·AI개념과 기후변화의 관계 이해
· 협력·자기주도 학습으로 실천 가능한 기후대응 방안 모색
· 도구: 엑셀, AI for Oceans, 마이크로비트 미세먼지 측정키트(일회성), Canva
· 환경: 노트북(1인 1대), 와이파이, 프로젝터
· 기후 데이터 분석 리포트·그래프
· 환경 데이터 측정 결과
· 실천 서약·팀 발표
· 대상: 초등학생·정원: 20명/회
· 운영: 총 8차시 (진입2·도약2·성장4)
· 이론30%+실습40%+프로젝트30%
· 친환경 하우스/도시 개념 이해
· IoT·AI가 환경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탐색
· 3D·VR 도구로 창의 프로젝트 제작 및 협업
· 장비: AI&IoT 빗물감지 센서하우스(일회성), VR 키트
· 소프트웨어: TinkerCAD, CoSpaces
· 환경: 노트북(1인 1대), 와이파이
· 친환경 하우스 3D 모델
· VR 스마트시티 씬
· 팀 피치덱
· 대상: 초등학생·정원: 20명/회
· 운영: 총 8차시 (진입3·도약3·성장2)
· 이론20%+실습60%+프로젝트20%
· 지속 가능한 전기 사용과 스마트 에너지 관리 개념 습득
· 전기 회로·코딩 기초 이해로 과학적 사고력 강화
· 마이크로비트 기반 실생활 문제 해결
· 장비: Snap Circuits MyHome, Snap: bit, Microbit, 태양광 패널
· 소프트웨어: TinkerCARD
· 환경: 노트북, 와이파이, 프로젝터
· 작동하는 회로·프로토타입
· 팀 발표/피드백